경제용어 및 개념

DSR이란? (Debt Service Ratio)

리치동 2022. 6. 18. 16:56

DSR이란 무엇일까요? (Debt Service Ratio)

 

최근 부동산 정책으로 인하여 DSR이라는 용어가 많이 나오는데요 DSR(Debt Service Ratio)이란 뜻은 연소득 대비 연간 총부채 원리금 상환액의 비율을 나타낸 용어로 상환능력을 알아보기 위한 지표로 활용됩니다. 다소 어려울 수 있는 DSR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DSR이란

● 계산식

DSR = (주택대출원리금상환액 + 모든 금융권 대출에 대한 원리금 상환액 / 연간 소득 ) * 100

 

● DSR 예시

DSR 100%이하 = 대출원리금(원금+이자)이 연소득까지 가능
DSR 40%이하= 대출원리금(원금+이자)이 연소득의 40%까지 가능

차주단위 DSR단계표

위의 표는 단계별로 규제대상 차주에 대한 정의를 바꾸겠다는 표입니다.

1단계 시점의 경우 전 규제지역의 6억원 초과 주택 매입 시 신용대출이 1억원 초과일 경우  DSR 규제비율을 적용 하겠다는 뜻이며, 2단계 시점의 경우 1단계조건 +  총대출액이 2억원 초과일 경우 DSR 규제비율을 적용한다는 뜻입니다. 3단계 시점에는 1단계 조건을 폐지하고 총 대출액이 1억원 초과일 시 DSR을 확인하겠다는 뜻입니다. 다시말해 은행 DSR 40%, 비은행권 DSR 50%을 적용하겠다는 의미입니다

 

● DSR 산정시 제외대상

DSR을 계산할 때 모든 원리금을 계산하는 것은 아닙니다. 주담대(주택담보대출)와 신용대출이 포함되며 다음과 같은 항목들은 산출 시 제외됩니다. 

  • 전세자금대출(전세보증금담보대출은 제외), 보금자리론 등 정책모기지
  • 분양주택, 분양오피스텔에 대한 중도금 대출
  • 주택연금(역모기지론)
  • 이주비, 중도금 대출
  • 서민금융상품(새희망홀씨, 바꿔드림론, 사잇돌대출, 징검다리론, 대학생 햇살론 등)
  • 3백만원이하 소액신용대출, 할부리스 및 단기카드대출
  • 기타 정책자금
  • 긴급 생계자금으로 여신심사위원회 승인을 받은 주택담보대출
  • 보험계약대출, 예적금 담보대출 

 

● 정리

DSR은 무분별한 대출 실행을 막기 위해 그 사람의 능력을 보겠다는 제도입니다. 실제로 근로소득을 확인하여 갚을 능력이 있는지를 확인하여 무분별한 대출실행을 막고자 함에 그 이의가 있습니다. 최근 가계부채가 날로 증가하고 금리 상승 이슈로 인하여 가계대출 관리가 필요한 시점인듯합니다. DSR에 대한 뜻을 잘 파악하고 추후 주택 구매 시 문제가 생기지 않도록 확인하여야겠습니다. 이만 포스팅을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LTV 용어 및 정리

- LTV 용어 및 정리 - 부동산 뉴스를 보다 보면 자주 나오는 부동산 대출 용어 중에 하나인 LTV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부동산 뉴스를 보시면서 눈에 보이는 용어 LTV란 무엇이며 LTV가 어

richdong.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