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뉴스를 보시다 보면 기저효과라는 단어를 많이 보시게 됩니다. 최근 인플레이션을 설명할 시에도 많이 나오는 기저효과에 대해서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기저효과란?
물가의 상승과 하락에 대한 통계는 통산 전년도와 현재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합니다. 특정 시점의 경제상황을 비교평가할 경우 주어진 경제상황(비교기준)에 따라 해석을 달리하게 되는 현상을 기저효과 라 합니다. 국어사전에 기저라는 뜻은 어떤 것의 바닥이 되는 부분. 사물의 뿌리나 밑바탕이 되는 기초라는 뜻으로 나와 있습니다. 사전적의미로 보았을 때 기저효과란 밑바탕이 되는 부분이나 기초에 따라 그의 해석이 달라진다는 뜻으로 볼 수 있습니다.
2. 기저효과에 의한 왜곡
미국에서 물가를 측정하는 방식을 통하여 기저효과에 대해 설명할 수 있습니다. 미국의 물가 측정방식은 에너지, 수입물가, 소비 3가지를 통하여 물가측정을 하게 되는데, 물가 측정을 할 경우의 데이터가 왜곡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1) 에너지 가격 (Energy price)
에너지가격의 경우 시세라는 것이 있습니다. 예를들면 국제유가의 경우 1년 전 오늘과 비교를 통해 물가를 이야기하는데 하루마다 변하는 국제유가로 인하여 정확한 물가 상승을 측정하기에는 한계가 있습니다. 기저효과를 가지고 오는 대표적 요인으로 꼽습니다.
2) 수입물가 (Import)
수입물가의 경우 수입물가 그 가치보다는 달러가치에 따라 변동하는 측면이 강합니다. 달러가 전세계적으로 강세 일 경우 수입물가는 내려가게 되는 효과를 가지게 되고, 약세 일 경우 수입물가는 올라가게 되는 현상으로 나타납니다. 미국에는 달러인덱스라고 하는 지표를 통하여 수입물가의 상승 하락 여부를 분석하게 됩니다.
3) 소비 (Comsumtion)
일반적인 상황이 아닌 특수한 상황을 통한 보복소비가 나타날 경우 수요가 늘기 때문에 물가가 상승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특수한 코로나 상황등이 기저효과를 일으키는 원인으로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3. 기저효과 기사
울산 6월 기업경기실사지수 소폭 상승…“기저효과 영향”
국제 원자재가 상승 등의 영향으로 울산지역 기업경기가 침체기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
news.kbs.co.kr
이제 초반에 링크 해놓은 뉴스 기사의 뜻을 보시면 알아보실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위의 기사를 읽어보시면 결국 별도의 특수상황으로 인하여 기저효과가 나타난다 (데이터의 왜곡이 나타난다) 라고 보실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경제용어 및 개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점도표(Dot Plot)의 뜻과 점도표 최근 추이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0) | 2022.07.16 |
---|---|
FOMC(연방공개시장위원회)에 대하여 알아봅시다 (0) | 2022.07.12 |
미국금리가 국내 경제에 주는 영향 (0) | 2022.07.11 |
금리인하로 인한 부작용을 알아보고 현재 상황의 진단 (0) | 2022.07.06 |
인플레이션(Inflation), 디플레이션(Deflation)을 막기 위한 한국은행의 역할과 목표 (0) | 2022.07.0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