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미국에서 큰폭의 금리인상을 단행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도 금리인상을 계속해서 하고 있고 하반기에 금리인상도 기정사실화 되고 있습니다. 금리인상을 하고 있는 사유가 인플레이션(Inflation)때문 입니다. 인플레이션(Inflation)에 대하여 알아보고 그 반대되는 개념 디플레이션(Deflation)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또한 그러한 인플레이션(Inflation), 디플레이션(Deflation) 발생 시 우리나라 중앙은행인 한국은행이 물가안정과 금융을 안정 시키기 위해 어떠한 노력을 하고 있는지에 대해서도 확인하고 금리인상과 인하하는 시점에 관여하는 역할을 언제 하는지 거시적인 관점에서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금리인하로 인한 부작용을 알아보고 현재 상황의 진단
금리인하가 일어날 경우 발생되는 부작용과 현재 진단 금리인하를 한다는 것은 보통 경기침체가 발생하여 자금의 원활환 흐름을 이끌어내고 소비를 시키기 위한 한국은행의 정책 중의 하나입
richdong.tistory.com
● 한국은행의 목표
1) 물가안정
위의 한국은행법에서 확인 가능 하듯이 한국은행 존재의 목표는 물가안정입니다. 다른말로 화폐가치의 안정이라고도 합니다. 인플레이션이란 단어를 많이 들어 보셨을 것입니다. 인플레이션이란 물가가 상승하여 화폐가치 하락이 나타나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이럴때 한국은행은 금리를 조절 함으로써 화폐가치를 조절하기 위해 개입하게 됩니다.
2) 금융안정
금융안정이 필요한 경우는 2가지의 경우를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a) 금융시장이 너무 과열되는 경우입니다.
금융시장에 과열이 나타난 다는 것은 자산가격이 매우 많이 상승하게 되어 버블이 나타난다는 말과 같습니다. 시장은 버블의 급속한 붕괴를 두려워 합니다. 급속한 붕괴가 발생할 경우 경기침체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를 위해 한국은행은 금융안정을 위해 금리조절을 통하여 시장에 개입하게 됩니다.
b) 금융시장이 너무 침체 되는 경우 입니다.
경기침체가 되면 매우 안정적인 기업임에도 일시적인 자금부족으로 인하여 기업들에 문제가 종종 있습니다. 일시적인 상황때문에 안정적인 기업도 도산하면 안되기 떄문에 한국은행은 경기침체가 되었음을 판단했을 떄에도 시장에 개입하게 됩니다.
● 물가에 대한 이해
물가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예를 들도록 하겠습니다.
- 1,000원짜리 아이스크림이 이 1년후에 5%가 오른다고 가정하면 1,050원이 될 것입니다.
- 1,000원짜리 현금을 1년동안 내 책상서랍에 그대로 가지고 있으면 1,000원이 그대로 있을 것입니다.
1년전에는 내가 가지고 있는 1,000원으로 아이스크림을 사먹을 수 있었지만 1년이 지난 후 아이스크림은 내가가진 1,000원으로 살 수 없는 상황이 되어버렸습니다. 이와 같은 경우를 '구매력이 보존되지 않았다'라고 표현합니다.
현금 구매력의 보존되게 하기 위해 1,000원을 내 책상서랍이 아닌 은행의 5% 예금에 넣게 되면 이자 50원이 1년 동안 발생하여 1,050원의 가격이 된 아이스크림을 살 수 있게 됩니다. 이 경우 '구매력이 보존 되었다' 라고 표현합니다.
● 한국은행이 금리를 조정하는 경우
1) 물가가 오를때(인플레이션 Inflation)
물가가 급등하여 1,000원짜리 물건이 1,100원이 될 경우 5%의 예금 가입하는 것에 비해 자산 구매가 훨씬 이득이기 때문에 사람들은 예금을 넣기보다는 자산구매에 집중하게 됩니다. 그렇게 자산구매에 집중이 되어지면 자산가격의 비정상적인 상승이 일어납니다. 이런 비정상적인 상승은 위에서 설명한 버블의 원인이 되게 됩니다. 버블이 일어날 경우 화폐가치가 굉장히 빠른속도로 떨어지게 됩니다. 또한 버블이 터졌을 경우 실물경기가 주저 앉게 되는 원인이 되어버립니다. 한국은행은 실물경기가 주저앉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금리상승을 하여 물가상승을 방지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2) 물가가 내려갈때 (디플레이션 Deflation)
물가가 내려갈때 소비에 대한 심리를 차례로 나타내보도록 하겠습니다.
a) 물가의하락의 기대감이 있을 경우 소비를 안하게 됩니다.
b) 이말은 수요가 부족해 진다는 말입니다.
c) 소비를 안하게 되니 기업의 마진이 줄어듭니다.
d) 기업은 마진이 줄어들어 고용을 축소합니다.
e) 개인들의 소득이 줄어듭니다.
f) 개인들은 소비를 안하게됩니다.
소비를 안하게 되면 위의 과정을 끊임 없이 반족하게 됩니다. 이를 디플레이션의 악순환이라고 합니다. 이처럼 물가하락이 일어날 경우 경기침체를 해결하기 위해 금리를 인하하면서 이자부담 내려주게 됩니다.
기준금리와 시장금리는 어떤관계가 있을까요?
- 기준금리와 시장금리에 대하여 - 위 기사 는 가계대출 금리 최고에 대하여 쓰여져있는 기사 일부분을 보여드렸습니다. 기사 내용 중에 기준금리 인상으로 시장금리가 올랐다고 되어 있는 문구
richdong.tistory.com
'경제용어 및 개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금리가 국내 경제에 주는 영향 (0) | 2022.07.11 |
---|---|
금리인하로 인한 부작용을 알아보고 현재 상황의 진단 (0) | 2022.07.06 |
기준금리와 시장금리는 어떤관계가 있을까요? (0) | 2022.06.29 |
금리변동에 따른 단기채권, 장기채권의 영향 (0) | 2022.06.27 |
금리와 채권의 관계 (0) | 2022.06.2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