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MC(연방공개시장위원회)에 대하여 알아봅시다

     

    미국금리에 대한 기사를 보게 되면 FOMC(Federal Open Market Committee)라고 하는 단어를 자주 보게 됩니다. FOMC에서 미국금리 상승을 단행했다고 최근의 뉴스에서도 보셨을 것입니다. 그렇다면  미국금리를 결정하는 기관인 FOMC가 무엇이고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FOMC란 무엇인가?

    FOMC란 Federal Open Market Committee 의 약자로서 미국연방공개시장 위원회라고 합니다. Open Market이라는 말은 공개시장을 일컫는 단어로서 중앙은행이 시장의 금리를 기준금리로 유지시키기 위한 조절을 하는 공개시장조작을 하는 위원회라고 하여 FOMC(미국연방공개시장 위원회)라고 하는 것입니다. 

     

    FOMC는 45일마다 열리며 횟수로 따지면 1년에 약 8번정도 열리게 됩니다. 위원의 수는 17명의 총위원들이 있고 그 안에서 회의 때마다 12명이 바뀌면서 통화정책을 결정하게 됩니다. 45일마다 열리는 회의를 Scheduled Event라고 하게 됩니다.  Scheduled Event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아래 FOMC 공식 페이지로 접속하셔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The Fed - Federal Open Market Committee

    Please enable JavaScript if it is disabled in your browser or access the information through the links provided below. About the FOMC The term "monetary policy" refers to the actions undertaken by a central bank, such as the Federal Reserve, to influence t

    www.federalreserve.gov

     

    FOMC Calendar
    맨아래의 FOMC Calendar 클릭

     

     

    2. FOMC Meetings

    2022 FOMC Meetings 라고 하는 일정들이 나타나게 됩니다. 1월에는 25,26에 진행이 되었고 3월에는 15,16일에 진행이 되었다는 점을 확인이 가능합니다.  실제로 약 45일의 차이로 FOMC Meetings가 열리는 것을 확인이 가능합니다. 

    2022 FOMC Meetings

     

     

    FOMC Meetings에서는 금리에 대한 방침을 공표하는 회의를 진행하고 그 회의에 대하여 미국 중앙은행의 의장(Federal Reserve)인 파월(jerome powell) 의장이 나와서 기자회견을 통해 1페이지짜리 성명서를 발표하게 됩니다. 성명서 발표  3주 후에 회의 내용을 담은 의사록(Minutes)을 발표하게 됩니다.

     

    또한 FOMC Meeting 2주 전에 미국의 경제동향을 분석하는 베이직 북이 발표가 됩니다. 이 베이직 북에서 나온 데이터를 가지고 FOMC에서 금리 결정을 하는 참고자료로 활용이 됩니다. 결국 베이직 북이 발표되고 2주 후 FOMC Meeting이 개최되고 3주 후 의사록이 나오게 되는 사이클이 반복해서 일어나게 되는 것입니다. FOMC 스케줄 표를 참고하면 시장에서 영향을 주는 이슈를 분석이 가능하게 됩니다. 

     

    지금 관심거리는 미국시간 7.26~27에 있을 FOMC 회의입니다. 이미 자이언트 스텝을 예고한 만큼 큰 폭의 금리 인상이 예상되고 있는 시점이니 해당일에 있을 회의를 지켜보며 시장을 대응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됩니다. 

    댓글